1971년 실시된 “스탠퍼드 감옥 실험(Stanford prison experiment).“ 짐바도가 당시 스탠포드 대학의 심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이 실험의 대상은 신문광고를 보고 찾아 온 일반인들이다. 하루 15달러의 보수를 받기로 하고 실험참가를 희망한 75명의 일반인들은 우선 철저한 예비조사를 받아야 했다. 본인이나 가족이 반사회적 행위에 가담한 적이 있는가, 정신질환을 앓은 적이 있는가 등이 면밀히 체크되었다.
그 결과 심신이 안정되고 모든 면에서 지극히 건전하다고 여겨진 21명이 선발되었다. 이 21명을 제비뽑기로 분류하여 10명은 죄수, 11명은 교도관의 역할을 맡게 되었다. 피험자들에게는 연구의 내용이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며 준비된 계약서에 서명을 한 후 각기 집으로 돌아갔다.
며칠 후 죄수역을 맡은 피험자들은 실험에 협력해준 경찰에 의해 정식으로 연행되었다. 집 근처에서 체포된 이들에게는 수갑이 채워졌다. 경찰서에서 일반 피의자들과 똑같은 취조를 받은 후 지문이 채취되었다. 그리고 나선 눈이 가려진 채로 대학 내의 모의 감옥에 수감되었다.
이들은 등과 가슴에 수인번호가 적혀진 죄수복을 입었다. 한방에 3명씩 수감된 채 24시간을 감방 안에서 지내야 했다. 특별히 주어진 일은 없었으며 감방에서 24시간을 보내기면 하면 되는 어찌 보면 상당히 편한 일이었다. 처음에는 다들 이렇게 생각했으리라. ... 중략-이상 다음까페에서 옮김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 <엑스페리먼트>의 실제 배경이다.
영화를 보는동안 숨이턱턱 막혔다.
간수의 역할을 맡은자는 어느새 자신에게 주어진 권력에 동화되어 자기도 모르게
인간성을 붕괴해하고 죄수역을 맡은 자들은 무기력하고 나약해져 권력의
폭압에 굴종해가는 모습이 극명하게 대비된다.
그러한 심리의 간극을 파고들고 조장하는 권력, 그 구조를 느끼고 바라보게도 한다.
그러나 차마 눈뜨고 볼 수없는 장면들..
그리고 짧은 강의의 여운..
'욕망이 충족되지 않으면 인간은 어떻게 변할지 모른다.
또한 인간은 가장 자유롭고 싶으면서도 남의 자유는 못봐준다.
이를테면 노숙자들은 '쉼터'같은데 가라해도 속박이 싫어서 못가는 경우도 많다. 그들의 '자유'에 사람들은 눈살을 찌뿌린다. 자유로운 여성을 부러워 하면서 정작 자유로운 여성에게는 눈길을 곱게 주지 않듯이.
자유의 욕망은, 도덕이라는 명분으로 피지배층에게 침입되고 강요로 억압된다. 강의실에 들어와있지 않으면, 취직을 하지않으면,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면 뭔가 찜찜해지는 .. 자본주의의 연결고리를 지녀야만 안위를 느끼도록 사람들이 심리적으로 구조화되어있다.
그러나 구조만 말할것이 아니라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인간의 문제를 보아야 한다.
......................................'
'강의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걸리버 여행기 (0) | 2009.03.14 |
---|---|
'모든것이면서 아무것도 아닌 것에의 혁명을' (0) | 2009.03.14 |
여름의 흐름 (0) | 2009.03.14 |
살아있는 수수께끼-이집트 (0) | 2009.03.10 |
그래도 2MB 보다야.. (0) | 2009.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