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 좋은 것이 가슴 좋은 것만 못하고
가슴 좋은 것이 손 좋은 것만 못하고
손 좋은 것이 발 좋은 것만 못하다
신영복 선생님의 서화 달력에 적어져 있는 글귀다.
아이큐보다는 감성과 진심이 귀하고 마음보다는 노동이 귀하다는..
그럼 손보다 발 좋은 것이 더 귀하다는 말은 실천을 말함이라고?
아니다, 실천은 손이 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발은 서 있는 곳, 위치, 입장을 말하는 것이다.
서있되, 어디에 서 있는가?
서 있는 위치에 따라 바라보이는 지점은 다르고 가야 할 방향도 달라진다.
어디에 딛고서서(발) 무엇을(손) 어떻게(머리) 할 것인가를 성찰하는 것, 어떤 입장을 지니는가가 가장 중요하다는 것, 그것이 이 짧은 글에서 하고자 말일 것이다.
그럼 성찰은 무엇인가?
어떤 선생님은 성찰은 ‘반성문 쓰는 것이 아니라’ 고 했다.
성찰의 핵심은 ‘맥락에서 벗어나기’, ‘주변에서 중심보기’라는 것.
<걸리버여행기>처럼 ‘밖에서 보는 것’이다.
학생이 교실에서 떠들다 선생님께 매를 맞았다.
이때, 아이의 성찰은 다시는 떠들지 말아야지 라고 반성문을 쓰는 것?
아니다, 진정한 성찰은 내가 왜 맞았지? 를 총체적으로 보는 것이다.
떠드는 행위는 맞을 짓인가?
교사는 떠든다고 때려야 하는가?
왜 교실에서는 교사만 말하고 학생은 듣고만 있어야 하지?
다른 방식의 수업은 없는가?
나는 이 교실에서의 수업으로 무엇을 얻으려 하는가? 등등..
진정한 성찰은 그렇게 하는 것이라는...
나는 오늘 어디에 발 딛고 서 있는지,
무엇을 행위 했고, 무엇을 말했고, 무엇을 보았는지,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성찰하고 있는지?
'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든 건축물은 폐허에서 시작된다. (0) | 2010.04.15 |
---|---|
독버섯이야! (0) | 2010.04.03 |
함께 맞는 비 (1) | 2010.03.15 |
'먼데서 벗이 오니 이 아니 즐거울까' (0) | 2010.03.07 |
봄 맞으러 ~~ (0) | 2010.03.01 |